【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1
▣ 제1차 - [ㄱ] 발음 성어 [ 1-87 페이지 ] ▣ ‘呵呵大笑’부터 ‘吉凶禍福’까지 261개 성어
◉ 이야기 한자여행 URL [ http://www.hanja.pe.kr ]
◉ 운영자[오형민] Email [ webmaster@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1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1] 呵 呵 大 笑 웃을가 웃을가 큰 대 웃을소 【語義】(가가대소) 껄껄 크게 웃는다. 너무 우습거나 기쁜 일로 인 해 크게 웃는 모양을 표현 한 성어.
【유의어】拍掌大笑(박장대소): 손바닥을 치며 크게 웃는다. 破顔大笑(파안대소): 얼굴을 찡그리며 크게 웃는다. 抱腹絶倒(포복절도): 배를 끌어안고 넘어질 정도의 크게 우스운 상황. 口, 4획 [총7획] 口, 4획 [총7획] 大, 0획 [총3획] 竹, 4획 [총10획] 呵 呵 大 笑 【字義】
◉ 呵(가)‘꾸짖다’,‘웃다’ ◉ 笑(소) 본래 ‘꽃이 피다’에서 변화되어 짐승 짓는 소리, 사람의 웃음소리로 변함.
[2] 家 家 戶 戶 집 가 집 가 집 호 집 호 【語義】(가가호호) 집집마다. 【유의어】坊坊曲曲(방방곡곡): 마을마다 고을마다. 온 나라 안의 모든 곳을 의미. 宀, 7획 [총10획] 宀, 7획 [총10획] 戶, 0획 [총4획] 戶, 0획 [총4획] 家 家 戶 戶
【字義】◉ 家(가)‘집’에서 확대되어 家門(가문), 學派(학파), ‘사람’의 의미로 활용.{音樂家}
◉ 戶(호) ‘부수자’로 본래 양쪽으로 된 문의 한쪽을 표현. 문이 확대되어 ‘집’의 의미로 활용.
[3] 街 談 巷 說 거리가 이야기 담 거리항 말씀설
【語義】거리에서 떠도는 이야기나 항간에서 보통사람들 사이에 흘 러 다니는 소문이나 풍문(風聞).
【유의어】街談巷議(가담항의): 거리의 이야기나 항간의 논의들. 道聽塗說(도청도설):
길에서 듣고 말하는 뜬소문. 行, 6획 [총12획] 言, 8획 [총15획] 己, 6획 [총9획] 言, 7획 [총13획] 街 談 巷 說
【字義】◉街(가):‘네거리’에서 생겨난 ‘거리’나 ‘市街(시가)’ 의미
◉談(담):토론과 달리 조용한 이야기의 성격.
◉巷(항):곧은 길은 ‘街’, 굽은 길은 ‘巷’
◉說(설):자세히 풀어서 하는 이야기의 성격/(열)기쁘다/(세)달래다
【참고】巷間(항간): 보통 서민들의 사이. 閭巷間(여항간)의 준말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2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4] 街 童 走 卒 거리가 아이동 달릴주 병졸졸
【語義】(가동주졸) 거리의 아이와 달리는 병졸. 곧 길거리에서 노 는
철없는 아이들이나 주관도 없이 길거리를 떠돌아다니는 상식 없는 사람들.
【유사어】烏合之卒(오합지졸): 까마귀 떼처럼 갑자기 모인 규율도 없고 통일성도 없는 군중.
行, 6획 [총12획] 立, 7획 [총12획] 走, 0획 [총7획] 十, 6획 [총8획] 街 童 走 卒
【字義】◉ 童(동) 보통 15살 이하의 아이를 표현. ‘兒(아)’는 젖먹이부터 젊은 남자까지 모두 사용.
◉ 走(주) 사람이 두 팔을 벌리고 달리는 모양.
◉ 졸(卒) 본래 옷에 표시하고 있는 ‘하인’의 의미에서 확대되어 최하위 군사인 병졸의 뜻이 됨.
부사로 ‘갑자기’의 뜻도 있음.
[5] 苛 斂 誅 求 가혹할가 거둘렴 목벨주 구할구
【語義】(가렴주구) 가혹하게 세금을 거두고 백성들의 재물을 죽을 때까지 요구하며 억지로 빼앗음.
貪官汚吏(탐관오리)의 학정.
【유의어】塗炭之苦(도탄지고): 진흙과 숯 구덩이의 고통. 含憤畜怨(함분축원):
분을 머금고 원한을 쌓는다. 【연결고사】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孔子(공자)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 보다 무섭다.
艸, 5획 [총9획] 攴, 13획 [총17획] 言, 6획 [총13획] 水, 2획 [총7획] 苛 斂 誅 求
【字義】
◉ 苛(가) 작은 풀의 ‘맵다’에서 확대되어 ‘가혹하다’로 전용
◉ 斂(렴) 부과하여 거두어들인다.
◉ 誅(주) 죄인이나 적을 죽이고 토벌하는 것
◉ 求(구) 털가죽 옷에서 확대되어 ‘구하다’는 의미가 됨. ‘水’부수는 자형.
[6] 佳 人 薄 命 아름다울가 사람인 엷을박 목숨명
【語義】(가인박명) 아름다운 사람은 명이 짧다.
절세미인(絶世美 人)의 삶이 불행하거나 목숨이 짧다는 의미.
【동의어】美人薄命(미인박명) 人, 6획 [총8획] 人, 0획 [총2획] 艸,13획 [총17획] 口, 5획 [총8획]
【字義】◉佳(가) 내적 아름다움의 의미. ‘美(미)’는 외적 아름다움 표현
◉薄(박) 엷고 작아 천하고 경솔함을 의미.
◉命(명) 왕이 내리는 ‘명령’의 뜻에서 백성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기에 ‘목숨’의 의미로 확대
【참고】佳人(가인): 아름다운 사람. 보통 미녀의 의미. 才子佳人(재자가인)-
재능있는 남자와 아름다운 여자 佳 人 薄 命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3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7] 刻 骨 難 忘 새길각 뼈 골 어려울난 잊을망
【語義】(각골난망) 뼈에 새겨 잊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남의 은혜에 대한
고마운 마음이 깊이 새겨져 잊혀지지 않음.
【유사어】白骨難忘(백골난망): 백골이 되어도 잊기가 어렵다.
【연결고사】結草報恩(결초보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다 -
晋(진)나라 魏顆(위과) 고사 刀, 6획 [총8획] 骨, 0획 [총10획] 隹, 11획 [총19획] 心, 3획 [총7획] 刻 骨 難 忘
【字義】◉ 刻(각) 돼지를 칼로 난도질하는 것에서 ‘새기다’,‘모질다’ 파생
◉ 骨(골) 살을 발라내고 남은 뼈, 사람의 신체 부위 표현
◉ 難(난) 어렵다, ‘易(이)’의 반대. ‘亂(란)어지럽다’와 구별해야 함
◉ 忘(망) - ‘忙(망)바쁘다’와 구별해야 함 [8] 刻 骨 痛 恨 새길각 뼈 골 아플통 원한한
【語義】(각골통한) 뼈에 새긴 애통한 원한의 뜻으로 마음 속 깊이 맺힌 원한의 의미.
【유의어】刻骨之痛(각골지통): 뼈에 사무친 원한. 徹天之寃(철천지원):
하늘에 사무치는 원한(徹天之恨) 不俱戴天之怨讐(불구대천지원수):
같은 하늘 밑에서 살아 갈 수 없는 원수 刀, 6획 [총8획] 骨, 0획 [총10획] 疒, 7획
[총12획] 心, 6획 [총9획] 刻 骨 痛 恨
【字義】◉ 痛(통)- ‘疒(녁)’부수는 모두 질병과 관련된 글자.
疾病(질병) ◉ 恨(한)원통하다, 한. ‘限(한)’은 한계,제한의 의미
[9] 刻 薄 成 家 새길각 엷을박 이룰성 집 가
【語義】(각박성가) 모질고 야박해서 집을 이루었다는 뜻으로
매정 하고 인색해서 부자가 되었다는 의미.
刀, 6획 [총8획] 艸,13획 [총17획] 戈, 3획 [총7획] 宀, 7획 [총10획] 刻 薄 成 家
【字義】◉ 成(성)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丁’에도 충실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어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회의형성자
【참고】◉ 刻薄(각박): 모질고 인정이 없음. 잔인하고 박정함. 冷酷(냉혹)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4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10] 角 者 無 齒 뿔 각 놈 자 없을무 이빨치 【語義】(각자무치) 뿔이 있는 놈은
이빨이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 에게 여러 가지 재능이나 복(福)이 모두 갖추어지지는 않는 다는 의미.
角, 0획 [총7획] 老, 5획 [총9획] 火, 8획 [총12획] 齒, 0획 [총15획] 【字義
】◉ 角(각) 뿔 모양을 본떠 ‘모난 것’, ‘겨루다’의 의미 파생. 角逐(각축)
◉ 者(자) 본래 장작을 관주리 같은 것에 담은 모양이나 음을 빌려 물건의 의미로 가차됨.
‘놈’의 의미에는 사람과 사물을 모두 포함.
◉ 無(무) 본래 장식을 달고 춤추는 모습인데, 음을 빌려 ‘없다’는 의미로 가차
◉ 齒(치) 이빨 모양에서 ‘물다’, ‘나이’ 등의 의미로 활용. 齷齪(악착) 角 者 無 齒
[11] 刻 舟 求 劍 새길각 배 주 구할구 칼 검
【語義】(각주구검) 배에 새겨 칼을 구한다는 뜻으로, 판단력이 둔하 고
고지식하여 사리에 어둡고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
【유의어】守株待兎(수주대토):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
膠柱鼓瑟(교주고슬):기러기발 풀칠하고 거문고를 연주함
【고사배경】세상의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융통성 없이 자기 고집만 부리거나,
낡은 것을 청산하지 못하는 고지식한 당시의 공맹(孔孟)을 필두로
한 유가(儒家)사상가를 비판하는 법가(法家)사상의 말이다.-
呂氏春秋 刀, 6획 [총8획] 舟, 0획 [총6획] 水, 2획 [총7획] 刀,13획 [총15획] 刻 舟 求 劍
【字義】◉ 舟(주)- ‘통나무배’의 모양
◉ 劍(검) 뾰족하고 날카로운 칼의 의미.
[12] 艱 難 辛 苦 어려울간 어려울난 매울신 쓸 고
【語義】(간난신고) 몹시 어렵고 힘든 고통. 심한 고생의 의미.
【유의어】艱難險阻(간난험조): 인생행로(行路)의 험하고 어려운 일 千辛萬苦(천신만고):
무한이 애를 쓰고 고생함 艮,11획 [총17획] 隹, 11획
[총19획] 辛, 0획 [총7획] 艸, 5획 [총9획]
【字義】◉ 艱(간)과 難(난) 모두 어렵고 괴로운 것
◉ 辛(신)- 양기(陽氣)가 죄(罪)에 빠져 ‘괴롭다’는 의미 파생.
【참고】◉ 艱難(간난) 1)몹시 어렵고 곤란함.苦生(고생),艱苦(간고)
2) ‘가난’의 원말 艱 難 辛 苦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5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13] 肝 膽 相 照 간 간 쓸개담 서로상 비칠조
【語義】(간담상조) 간과 쓸개를 서로 비춤. 즉, 서로의 마음을 터 놓고 친하게 지내는 사이를 비유함.
[ 友情(우정) ] 【유의어】管鮑之交(관포지교), 莫逆之友(막역지우),
斷金之交(단금지교), 知己之友(지기지우), 貧賤之交(빈천지교),
竹馬故友(죽마고우), 芝蘭之交(지란지교), 刎頸之交(문경지교),
知音(지음): 종자기(種子期)와 백아(伯牙)의 우정 肉, 3획
[총7획] 肉,13획 [총17획] 目, 4획 [총9획] 火, 9획 [총13획] 肝 膽 相 照
【字義】◉ 相(상) ‘보다’는 의미에서 雙(쌍)과 음이 유사해 ‘서로’의 뜻까지 파생
◉ 照(조)- ‘昭(소)밝다’에 ‘火’를 더해 불빛이 밝게 ‘비추다’는 의미. 【참고】
◉ 肝膽(간담): 1)진심, 참마음. 2)서로 가까이 있는 두 사물 비유
[14] 竿 頭 之 勢 장대간 머리두 어조사지 형세세
【語義】(간두지세) 장대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막다른 위험에 빠진 몹시 위태로운 형세.
百尺竿頭(백척간두) 【유의어】危機一髮(위기일발), 一觸卽發(일촉즉발) 風前燈火(풍전등화),
命在頃刻(명재경각) 累卵之勢(누란지세), 存亡之秋(존망지추)
竹, 3획 [총9획] 頁, 7획 [총16획] 丿, 3획 [총4획] 力,11획 [총13획] 竿 頭 之 勢
【字義】◉ 頭(두) 사람 목 윗부분. 꼭대기, 우두머리 등의 의미로 확대
◉ 之(지) 대지에 풀이 돋아나 자라는 모양에서 ‘가다’ 의미 파생
◉ 勢(세) 힘의 세기, 기력에서 확대되어 권세(權勢), 남자 성기 ‘불알’ 의미 파생.
去勢(거세) [15] 間 不 容 髮 사이간 아니불 용납할용 터럭발
【語義】(간불용발) 틈이 터럭을 용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털 한 오라기를 넣을 만한 틈도 없는 ‘몹시 다급하고 위급한 일’을 비유
【유의어】間不容息(간불용식): 일이 몹시 다급하여 숨 쉴 틈도 없 다는 의미.
門, 4획 [총12획] 一, 3획 [총4획] 宀, 7획 [총10획] 髟, 5획 [총15획] 【字義】
◉ 間(간)- 본래 ‘閒(간)’이 본자. 문 틈 사이로 달빛이 들어온다는 의미에서 ‘사이,틈’의미 생성
◉ 容(용) 본래 집이나 골짜기 모두 물건을 ‘담다’는 의미에서 확대되어 ‘받아들이다,
용서하다’는 의미와 일상의 동작에서 ‘용모’의 뜻 생성
◉ 髮(발) 거의 사람의 머리털에만 사용. 間 不 容 髮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6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16] 干 城 之 材 방패간 성 성 어조사지 재목재
【語義】(간성지재) 나라를 지킬만한 인재라는 뜻으로, 국가를 호위 하고 지킬만한 인재를 의미.
【유의어】棟樑之材(동량지재): 한 집안이나 나라의 기둥이 될만한 인재 經天緯地之才(경천위지지재):
천지를 경위할 만한 인재 干, 0획 [총3획] 土, 7획 [총10획] 丿, 3획
[총4획] 木, 3획 [총7획] 干 城 之 材
【字義】◉ 干(간) 범하다는 의미에서 간여하다, 막다, 방패로 확대됨.
◉ 城(성)- 성곽은 ‘內城外郭(내성외곽)’의 구분.
◉ 材(재) 재목, 재주 의미
【참고】◉ 干城(간성): 1)방패와 성. 나라의 안팎을 지킴. 2)군인, 무사
[17] 奸 細 之 輩 간사할간 가늘세 어조사지 무리배
【語義】(간세지배) 간사한 소인의 무리. 간사하고 좀스러운 소인배 의 의미.
【유의어】小人雜輩(소인잡배): 간사하고 도량이 적은 잡된 무리 女, 3획
[총6획] 糸, 5획 [총11획] 丿, 3획 [총4획] 車, 8획 [총15획]
【字義】◉ 奸(간) 간사하다,간음하다 ‘姦(간)’과 동일
◉ 細(세) 작고 미미한 것. 소인(小人) 의미./ ‘紬(주)명주’는 별도의 글자
◉ 輩(배) ‘수레가 줄지어 늘어선 한 줄’의 의미에서 확대되어 합해 있다는 무리의 의미 파생
【참고】◉ 奸細(간세): 간사한 신하와 좀스러운 소인 奸 細 之 輩
[18] 間 世 之 材 사이간 세대세 어조사지 재목재 【語義】(간세지재) 썩 드물게 뛰어난 인재.
몇 세대를 통해 드물게 나온 뛰어난 인재. 【유의어】群鷄一鶴(군계일학):
닭 무리 속의 한 마리 학. 出衆(출중): 무리 가운데 뛰어남.
傑出(걸출). 絶倫(절륜). 【연결고사】白眉(백미): 흰 눈썹 삼국지 마량(馬良) 고사.
門, 4획 [총12획] 一, 4획 [총5획] 丿, 3획 [총4획] 木, 3획 [총7획] 間 世 之 材
【字義】◉ 世(세)- ‘十十十’으로 30년을 의미. 후에 한 ‘세대’의 의미와 ‘세상’, ‘시대’ 의미 파생
【참고】◉ 間世(간세):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있음.
[ http://www.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7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19] 奸 臣 賊 子 간사할간 신하신 도적적 아들자
【語義】(간신적자) 간사한 신하와 부모에게 거역하는 자식.
【유의어】亂臣賊子(난신적자): 나라를 어지럽히고 부모에게 불효하 는 자식. 女, 3획
[총6획] 臣, 0획 [총6획] 貝, 6획 [총13획] 子, 0획 [총3획]
【字義】◉ 臣(신) 임금 앞에 굴복한 사람 의미. 본래 6획 글자지만 일상에서는 7획으로 씀
◉ 賊(적) 도둑[=盜(도)]. 불충불효한 자 / ‘敵(적)적,대적하다’과 구별에 유의.
◉ 子(자) 강보에 쌓인 어린아이 의미. 후에 ‘사람’, ‘남자’, ‘존칭’ 의미 확대 奸 臣 賊 子
[20] 奸 惡 無 道 간사할간 악할악 없을무 도 도 【語義】(간악무도) 간사하고 악하면서 무지막지함.
사악(邪惡)하고 무례(無禮)한 사람이나 그 일을 의미.
【유의어】極惡無道(극악무도): 간사하고 도량이 적은 잡된 무 暴虐無道(포학무도):
포악하고 사나우며 도리에 어긋남. 凶惡無道(흉악무도): 사납고 악하며 도의가 없음.
女, 3획 [총6획] 心, 8획 [총12획] 火, 8 [총12획] 辶, 획 [총13획]
【字義】◉ 惡(악) 본래 ‘十’자형의 무덤 자리 모양에서 시작되어 ‘흉하다’,‘미워하다’
의미를 지닌 ‘亞(아)’에 ‘心’이 더해짐. 후에 ‘악하다’와 ‘어찌’ 의미 파생
◉ 無(무) 춤추는 모양인 ‘舞(무)’에서 발음을 빌려 ‘없다’는 의미 생성
◉ 道(도) 걸어가는 길의 의미에서 인간이 걸어갈 길인 ‘도의’의 의미 파생.
奸 惡 無 道 [21] 間 於 齊 楚 사이간 어조사어 제나라제 초나라초
【語義】(간어제초) 제나라와 초나라의 사이라는 뜻으로,
약자가 강 자의 틈에 끼어서 괴로움을 당한다는 의미.
【유의어】鯨戰蝦死(경전하사):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고사배경】전국시대 부용국 등(藤)나라가 강국 제(齊)와 초(楚)의 틈에서 고생하던 일. 門,
4획 [총12획] 方, 4획 [총8획] 齊, 0획 [총14획] 木, 9획 [총13획] 間 於 齊 楚
【字義】◉ 於(어) 문장 속 어조사 역할.{서술어+於+보어}의 구조.
◉ 齊(제) 벼 이삭 끝이 나란하게 있는 모양에서 ‘가지런하다’ 의미.
◉ 楚(초) 인삼초, 가시나무 의미. 중국 양자강 하류 일대 지역을 지칭.
[ http://www.hanja.pe.kr ] webmaster@hanja.pe.kr 일일 한자성어 교본 - 8
◈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22] 看 雲 步 月 볼 간 구름운 걸을보 달 월
【語義】(간운보월) 구름을 보고 달을 보며 걷는다는 뜻으로,
고향 생각이 간절하여 낮에는 하늘의 구름을 바라보고 밤이면 달 빛 아래에서 거닌다는 의미.
【유의어】望雲之情(망운지정): 타향에서 부모님을 생각하며 그리워 하는 마음.
目, 4획 [총9획] 雨, 4획 [총12획] 止, 3획 [총7획] 月, 0획 [총4획]
【字義】◉ 看(간) 눈 위에 손을 얹고 본다는 의미로 ‘보살핀다’는 의미로 지켜보는 것
◉ 雲(운) 수증기가 배로 내기 때문에 ‘구름’을 의미.云(운)은 발음
◉ 步(보) 위아래 모두 ‘발’의 의미. 멈췄다가 간다는 의미로 ‘걷다’는 뜻
◉ 月(월) 해와 구별하기 위해 초승달 모양으로 변함. ‘세월’, ‘음양의 음(陰)’도 표현 看 雲 步 月
[23] 渴 而 穿 井 목마를갈 말이을이 뚫을천 우물정
【語義】(갈이천정)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
미리 준 비하지 않다가 일을 닥치고서 서둘러봐야 소용이 없음을 의미.
【유의어】臨渴掘井(임갈굴정): 목마른데 임해서 우물을 판다. 준비 없이 일을 당하고서 허둥대는 모양
水, 9획 [총12획] 而, 0획 [총6획] 穴, 4획 [총9획] 二, 2획 [총4획]
【字義】◉ 渴(갈) ‘목마르다’는 의미와 ‘급하다’는 뜻도 파생. 曷(갈)은 발음
◉ 而(이) 본래 얼굴의 ‘구레나룻’. 문장의 어조사로 사용.
◉ 穿(천) 구멍을 뚫는다는 의미에서 ‘구멍’, ‘뚫다’는 뜻
◉ 井(정) ‘井’자 모양의 우물 틀에서 생성. 사방 일리(一里)의 ‘마을’도 의미 渴 而 穿 井
[24] 竭 忠 報 國 다할갈 충성충 갚을보 나라국
【語義】(갈충보국) 충성을 다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한다는 의미.
【유의어】盡忠報國(진충보국): 충성을 다해 나라에 보답함.
竭力盡能(갈력진능): 나라를 위해 힘과 능력을 다함.
立, 9획 [총14획] 心, 4획 [총8획] 土, 9획 [총12획] 囗, 9획 [총11획]
【字義】◉ 竭(갈) ‘다하다’, ‘마르다’ 등의 뜻으로 ‘盡(진)’과 같은 의미.
◉ 忠(충) ‘中心’의 의미로 본래 자신의 마음을 다하다는
‘정성’, ‘진심‘의 의미였는데, 중세에 그 대상이 임금이었기에 ‘충성’의 의미로 변함.
◉ 報(보) 본래 죄인을 잡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갚다’, ‘알리다’는 의미 생성.
신문의 ‘--일보(日報)’의 ‘報’는 ‘알리다’는 의미.
◉ 國(국) 영토를 지킨다는 의미에서 ‘나라’의 의미 생성 竭 忠 報 國
[ http://www.hanja.pe.kr ] webmaster@hanja.pe.kr [오형민] 일일 한자성어 교본 - 9
◈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가나다 순>
[25] 感 慨 無 量 느낄감 탄식할개 없을무 헤아릴량
【語義】(감개무량) 깊이 느끼고 탄식함이 한이 없다는 뜻으로,
사 물에 대한 회포의 느낌이 한이 없을 정도로 깊이 느끼는 일.
【유의어】感慨泣下(감개읍하): 한탄하며 눈물을 흘림.
心, 9획 [총13획] 心, 11획 [총14획] 火, 8획 [총12획] 里, 5획 [총12획] 【字義】
◉ 感(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의미에서 ‘느끼다, 감동하다’는 의미.
◉ 慨(개) ‘분개하다’는 의미와 함께 ‘슬퍼하다’는 의미
◉ 量(량) 물체의 경중(輕重)을 따져서 헤아린다는 의미로 ‘질량(質量)을 의미.
【참고】感慨(감개): 깊이 느끼어 탄식함. 또는 마음 속 깊이 사무치게 느 끼는 한탄 感 慨 無 量
[26] 感 舊 之 懷 느낄감 옛 구 어조사지 품을회
【語義】(감구지회) 옛날을 회상하여 감동하는 회포라는 뜻으로, 지 난날의 추억을 생각하며 느끼는 회포.
【관련성어】桑田碧海(상전벽해):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엄청난 변화상에 놀라는 상황. 心,
9획 [총13획] 臼, 12획 [총18획] 丿, 3획 [총4획] 心, 16획 [총19획]
【字義】◉ 舊(구) 새가 둥지를 오래된 풀로 만든다는 의미에서 ‘오래다’, ‘예’, ‘묵다’ 등의 의미 파생.
◉ 懷(회) ‘품다’는 의미는 가슴에 안거나 가지는 것 뿐 아니라
‘어떤 생각을 마음 속에 가지다’는 의미까지 포함.
懷抱(회포), 懷古(회고) 感 舊 之 懷 [27] 敢 不 生 心 감히감 아니불 날 생 마음심
【語義】(감불생심) 감히 마음이 생겨나지 못한다는 뜻으로, 감히 엄두도 못내는
하려는 마음을 먹을 수도 없다는 의미.
【유의어】焉敢生心(언감생심): 어찌 감히 마음이 생기겠는가? 攴,
8획 [총12획] 一, 3획 [총4획] 生, 0획 [총5획] 心, 0획 [총4획]
【字義】◉ 敢(감) 손으로 창을 가지고 간다는 의미에서 ‘무릅쓰다’, ‘감히’의 의미 생성.
◉ 生(생) 초목이 땅 위에 나와서 자라고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나다’, ‘생겨나다’, 날 것‘의 의미.
◉ 心(심) 사람 심장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고대에는
심장에서 두뇌의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함. 敢 不 生 心
[ http://www.hanja.pe.kr ] webmaster@hanja.pe.kr 일일 한자성어 교본 - 10
◈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28] 甘 言 利 說 달 감 말씀언 이로울리 말씀설
【語義】(감언이설) 달콤한 말과 이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세워 꾀는 말의 의미.
【유의어】巧言令色(교언영색): 교묘한 말과 아첨하는 얼굴 색 甘, 0획 [총5획] 言,
0획 [총7획] 刀, 5획 [총7획] 言, 7획 [총14획] 【字義】
◉ 甘(감) 입 속에 단 것을 머금고 있는 모양의 글자
◉ 言(언) 입에서 말을 꺼내고 있다는 의미. ‘語(어)’는 의견을 가지고 있는 말.
◉ 利(리) 본래 벼를 베어 수확한다는 의미에서 ‘날카로움’과 ‘이익, 이롭다’는 의미 도출
◉ 說(설) 말씀, (열) 기쁘다[=悅(열)], (세) 달래다. 遊說(유세) 甘 言 利 說
[29] 坎 井 之 蛙 구덩이감 우물정 어조사지 개구리와
【語義】(감정지와) 구덩이 속의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識見)이 좁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
【유의어】井底之蛙(정저지와): 우물 안 개구리. 井中之蛙(정중지와):
우물 속의 개구리. 坐井觀天(좌정관천): 우물에 앉아 하늘을 봄.
以管規天(이관규천): 대롱으로 하늘을 봄.
土, 4획 [총7획] 二, 2획 [총4획] 丿, 3획 [총4획] 虫, 6획 [총12획] 坎 井 之 蛙
【字義】◉ 坎(감) ‘구덩이’의 뜻에서 ‘험하다’는 의미 파생
◉ 蛙(와) ‘개구리’의 의미
[30] 感 之 德 之 느낄감 어조사지 덕 덕 어조사지 【語義】(감지덕지) 감사하게 여기고,
덕스럽게 여긴다는 뜻으로, 대단히 고맙고 감사하게 여긴다는 의미.
心, 9획 [총13획] 丿, 3획 [총4획] 彳, 12획 [총15획] 丿, 3획 [총4획]
【字義】◉ 德(덕) 옳고 진실한 마음을 지닌 행위의 의미
◉ 之(지) 문장 속에서 서술어 뒤에서는 대명사 ‘이것, 그것 등’ 역할.
해석할 때 큰 비중이 없음. 感 之 德 之
[ http://www.hanja.pe.kr ] [ webmaster@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11
◈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31] 甘 呑 苦 吐 달 감 삼킬탄 쓸 고 토할토
【語義】(감탄고토)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으로,
자신의 비 위에 맞으면 좋아하고 비위에 맞지 않으면 버린다는 이기적 인 행동을 의미.
【유의어】炎凉世態(염량세태): 권세가 있을 때는 아부하고 몰락하 면 냉대하는
세상의 세태. 甘, 0획 [총5획] 口, 4획 [총7획] 艸, 7획 [총9획] 囗, 3획 [총6획] 甘 呑 苦 吐
【字義】◉ 呑(탄) 음식을 입에 머금고 있다는 의미
◉ 苦(고) 약초의 쓴맛을 의미하는 글자. 후에 괴롭다는 의미 파생
◉ 吐(토) 입에서 음식물을 뱉어낸다는 의미.
[32] 甲 男 乙 女 갑옷갑 사내남 새 을 계집녀
【語義】(갑남을녀) 갑이라는 남자와 을이라는 여자라는 뜻으로, 신 분 등을
특별히 지적할 정도는 못되거나 누군지 알 수 없는 평범한 보통 사람들의 의미.
【유의어】張三李四(장삼이사): 장씨 셋째와 이씨 넷째. 樵童汲婦(초동급부):
나무하는 아이와 물긷는 아낙네. 匹夫匹婦(필부필부):
보통 남자와 여자 田, 0획 [총5획] 田, 2획 [총7획] 乙, 0획 [총1획] 女, 3획 [총3획] 甲 男 乙 女
【字義】◉ 甲(갑) 초목의 처음 나오는 모양이라서 씨의 껍질로 인해 ‘갑옷’,
처음이라서 천간의 첫 번째 등의 의미 파생
◉ 男(남) 밭에서 힘을 쓰는 사람의 의미.
◉ 乙(을) 새의 모양
◉ 女(녀) 얌전하게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동양의 윤리 의식으로 인해 ‘여자’의 의미.
[33] 康 衢 煙 月 편안할강 거리구 연기연 달 월
【語義】(강구연월) 평안한 거리와 태평한 세월이라는 뜻으로, 태평 한 시대에 큰
거리에 보이는 평온한 풍경의 의미. 곧 요순시 대(堯舜時代)의 태평한 세월.
= 太平聖代(태평성대) 【유의어】堯舜時代(요순시대):
요와 순의 태평성대. 比屋可封(비옥가봉): 집집마다 작위를 내려줄 만 하다
鼓腹擊壤(고복격양):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다. 요임금 대의 완벽한 정치를 구현한 시대.
广, 8획 [총11획] 行,18획 [총24획] 火, 9획 [총13획] 月, 0획 [총4획] 康 衢 煙 月
【字義】◉ 康(강) 편안하고 건강하다는 의미
◉ 衢(구) 사방으로 통하는 큰 네거리의 의미.
◉ 煙(연) ‘연기’나 ‘안개’의 의미에서 ‘담배’까지 확대.
[ http://www.hanja.pe.kr ] [ webmaster@hanja.pe.kr ] 일일 한자성어 교본 - 12
◈ 오형민의 ‘이야기 한자여행’ 제공 < 가나다 순 >
[34] 强 近 之 親 강할강 가까울근 어조사지 친할친
【語義】(강근지친) 아주 가까운 친척의 뜻으로, 도움을 줄 만한 아 주 가까운 친척의 의미.
【동의어】强近之族(강근지족)
【유의어】骨肉之親(골육지친): 부자, 형제 등 아주 가까운 혈족.
弓, 9획 [총12획] 辶, 4획 [총8획] 丿, 3획 [총4획] 見, 9획 [총16획]
【字義】◉ 强(강) 크고 단단한 껍질을 지닌 벌레처럼 ‘강하다’는 의미
.‘억지로’, ‘힘쓰다’ 등의 의미 파생
◉ 近(근) 거리가 ‘가깝다’는 의미에서 ‘곁’이나 ‘친척’ 등의 의미 파생
◉ 親(친) 돌보아 줄 수 있는 사람의 의미에서 ‘어버이’와
‘친하다’, ‘몸소’ 등의 의미 도출. 强 近 之 親
[35] 剛 木 水 生 굳셀강 나무목 물 수 날 생
【語義】(강목수생) 마른나무에서 물을 짜낸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을 의미.
【동의어】乾木水生(간목수생): * 乾(간) 마르다.
刀, 8획 [총10획] 木, 0획 [총4획] 水, 0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