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침술 중국 표준화

한국 침술 중국 표준화

복음제일교회 0 1,812 2021.01.11 16:57

한국침술, 중국 제치고 국제표준 됐다
기사입력 2008-06-19 01:38 |최종수정2008-06-19 02:37


[중앙일보 김창규] 음식을 먹고 체했을 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를 눌러 주면 소화가 잘된다. 옛 어른들이 사용해 온 민간요법이다. 한의학에서는 이 부위를 양 뼈가 합쳐진 것이 골짜기와 같다고 해서 합곡(合谷)이라고 부른다. 한의사는 소화불량에 걸린 환자가 오면 보통 이 부위에 침을 놓는다. 일본 한의사도 같은 증세일 때 합곡에 침을 놓지만 위치가 다르다. 한국에서는 두 손가락 사이 손등 위쪽 부위를 뜻하지만 일본에선 이보다 더 뒤쪽을 이른다.

인중을 뜻하는 수구(水溝)도 마찬가지다. 수구는 사람이 인사불성이 되거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침을 놓는 곳이다. 한국에서는 코나 입술의 중간쯤을 뜻하는데 중국에서는 코 쪽에 더 가깝다. 이렇게 나라별로 이름은 같은데 침을 놓는 위치가 달라 혼선이 생기기도 했다. 임상실험 결과 A라는 혈위(침을 놓는 자리)에 침을 놓으면 B라는 효과가 있다는 논문을 보고 다른 나라 한의사가 따라 해도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속출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침 시술법의 국제표준을 정했다. WHO는 중국과 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침 시술법을 표준으로 택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WHO의 '침구 경혈 부위 국제표준'에 한국의 침 시술 방법이 정식 채택됐다”고 18일 발표했다.

한의사협회에 따르면 사람 몸에서 침을 놓는 혈위는 361개에 달한다. 이번에 확정된 361개 국제표준 가운데 99%에 가까운 357개가 한국 한의학의 혈위를 따랐다. 사실상 한국 한의학의 침 시술법이 세계의 표준이 된 것이다. 침 시술은 아프리카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뤄진다.

김현수 한의사협회장은 “한국 한의학의 안전성과 신뢰도, 호환성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평가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표준이 됐다고 해서 WHO가 우리의 시술법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규정은 없다. 모든 나라가 한국 방식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란 의미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국제 학술논문에는 WHO 표준을 사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공식 한의학 관련 교과서와 경혈도가 바뀌고, 결국 모든 나라가 이 방식을 따라 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 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와 WHO, 대한한의사회는 19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WHO 침구 경혈 부위 국제표준서』 출판기념회를 열 예정이다.

김창규 기자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3 수면부족 - 감기 걸리기 쉽다 복음제일교회 2021.01.13 1957
122 평강제일교회 박윤식씨 이단시비 핵심 복음제일교회 2021.01.13 2020
121 위험한 사회 대한민국 복음제일교회 2021.01.13 1977
120 조직신학- 인간론(안산 선교사 훈련원 강의)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859
119 new Age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850
118 킹 제임스 역본 성경에 오해와 진실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745
117 운동의 효과(한자카페 기고한 글) 복음제일교회 2021.01.12 2068
116 2008학년 2학기 로고스 신학교 강의안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915
115 한자 부수의 명칭 복음제일교회 2021.01.12 2066
114 중국의 간자체(简字體) 복음제일교회 2021.01.12 2027
113 문명의 대 전환 복음제일교회 2021.01.12 2170
112 행복의 문을 여는 평생감사(그림한자에 기고한 내용)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824
111 2008년 중국산시성 신학교 강의안 복음제일교회 2021.01.12 1799
열람중 한국 침술 중국 표준화 복음제일교회 2021.01.11 1813
109 聖經 六十六卷 槪觀(08년 안산 중국인 신학교 교안) 복음제일교회 2021.01.11 1809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