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중국산시성 신학교 강의안

2008년 중국산시성 신학교 강의안

복음제일교회 0 1,802 2021.01.12 08:13
2948982920_MQxU1Zno_410b89ec496c4614e063223c1080fa1ce6f80a9e.gif첨부파일 : b3bdd8[첨부파일]_소선지서.zip
지난 5월 마지막주간과 6월 첫주간 중국 신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입니다. (파일첨부)

간추린 小先知書

小先知書 序論

소선지서(minor prophets)는 대 선지서의 뒤에 이어진 책들로 정경의 둘째 끝 부분을 이루고 있다. 소지지란 용어가 덜 중요하다는 뜻이 아니라 다만 오실 메시야의 예언에 있어서 비교적 내용이 짧다는 것을 가리킨다.

1. 名稱 ; 소예언서 라고 하는 소선지서는 그 메시지가 인간의 근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시야를 보내겠다는 하나님의 예언계획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므로, 이사야나
예레미야, 에스겔, 다니엘보다 그 중요성에 있어서 결코 못한 것이 아니다.
히브리 성경은 이 책들을 모두 묶어서 “열둘”(T he Twelve)이라고 불렀다.
이들 중 스가랴서는 짧거나 간략한 책은 아니지만, 성경학자들은 그 책들이 주
로 간략하기 때문에 “소선지서”라고 명명하였다

2. 配列原則의 順序
1) 초기 앗시리아 시대의 예언서(호세아 - 미가)
2) 그 이후의 앗시리아와 바빌로니아 시대의 예언서들(나훔, 하박국, 스바냐)
3) 페르시아 시대의 예언서들 (학개, 스가랴, 말라기)이다.

3. 敎訓 : 각 선지서에서 세가지 교훈을 발견할 수 있다.
1) 歷史的인 교훈 - 각 선지자들은 백성들의 생활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필요에 대처하기
위하여 썼다.
2) 豫言的인 교훈 - 각 선지자들은 이스라에의 장래에 있을 심판과 회복에 대하여 무엇
인가를 예증하거나 알렸다.
3) 實踐的인 교훈 - 그 당시 그 민족의 죄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있으며 이 책들로부터
우리가 배워야 할 실천적인 교훈들이 많이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자
면, 호세야서에서 우리는 이스라엘의 타락과 앗수르에게 시달리며 징
계를 받는 것과, 장차 정결함을 받고 회복되는 것을 본다. 우리는 또
한 오늘날 주님께 불순종하여 세상을 따름으로써 “영적인 음행”을 범
하는 신자들을 위한 교훈도 책에서 보게 된다.


호세아書

1. 호세아 序論
(1) 著者 : 브에리의 아들 호세아(여호수아, 예수=구원).
(2) 記錄 年代 : B.C715년 경.
(3) 記錄 場所 : 북 왕국 이스라엘.
(4) 對象 : 북 왕국 이스라엘 인과 세계 각지의 하나님의 백성들.
(5) 核心 人物 : 호세아, 고멜, 자녀들.
(6) 主要 場所 : 북 왕국 이스라엘, 사마리아, 에브라임.
(7) 時代的 背景 ; 물질적으로는 풍요하나 영적으로 빈곤한 시대. 호세아는 여로보암
2세 치하 말기 (B.C753-722)의 사마리아 멸망 직후까지 활동함.
(8) 記錄 目的 : 방탕한 이스라엘인들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을 예시함.
(9) 特異 事項 :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일상적 소재로써 표현. 남편, 아비, 이슬,
비, 곰, 사자, 표범, 등은 하나님을 나타내며, 아내, 쭉정이, 화덕, 포도

② 임박한 심판의 선포/9:1-10:15.
③ 사랑을 배반한 이스라엘의
파멸/11:1-13:16.

3. 회복의 약속/14:1-9
① 이스라엘의 회개/14:1-3.
② 회복 시키시는 하나님/14:4-9
나무, 감람나무, 해산하는 여인, 아침, 안개, 등은 이스라엘을 나타냄.
(10) 槪要
1. 호세아의 불행한 결혼/1:1-3:5
①가정을 이룬 호세아/1:1-9.
②음부에 대한 징벌/1:10-2:13.
③음부의 회복/2:14-3:5
2. 이스라엘의 죄악과 심판의
경고/4;1-13:16.
①이스라엘의 범죄/4:1-8:14.
2. 호세아서 本論
1) 제1장 여호와의 공의와 사랑 1-11
(1) 주의 공의 : 주는 지공무사(至公無私) 하시므로 선민(選民)의 범죄를 징벌하신다.
(2) 주의 사랑 : 주는 사랑이 무한하심으로 징벌 중에서도 선민을 돌아보신다.
2) 제2장 이스라엘(選民)의 두 가지 소득 1-22
(1) 이스라엘의 범죄 : 음부와 같이 버림을 당하고(3-5), 적신(赤身)의 수치를 당한다.
(2) 은총의 소득 ; 음부 고멜을 다시 취함(14-20) 구원을 얻음(23).
3) 제3장 주님의 무한하신 사랑 1-5
(1) 음부(淫婦)같은 선민을 다시 돌아보심 1. (2) 큰 물자를 허비하심으로 2上.
(3) 근면하고 허락하심2下. (4) 완전히 주님께 귀순하도록 인도하심 4-5
4) 제4장 지도자와 백성이 일반이라고 책망 1-14
(1) 지도자들이 진리를 떠나 백성을 지도하며,
백성도 진리의 지식이 없이 범죄함.
(2) 그 벌이 일반이라 함은 지도자나 백성이 일반으로

2
징벌을 받는다는 것이다.

5) 제5장 재앙을 면하는 법 1-15
(1) 주의 경고의 말씀을 신청(信聽)하는 것이다 1-5
(2) 자기의 죄를 철저히 회개할 것이다 15上
(3) 주의 구원을 간구할 것이다 15下.
6) 제6장 하나님의 백성이 힘쓸 것 1-11
(1) 구원의 은혜를 간절히 구할 것 1-3
(2) 죄를 회개하고 재범치 말 것이다.4-11
7) 제7장 화벌의 징조 1-16
(1) 그 죄악이 드러남이다 1-2 (2) 죄악이 맹렬함이다 4-6
(3) 패역을 행함이다. 6-7 5 (4) 죄를 그대로 행함. 8-16.
8) 제8장 무익한 기도 1-14.
(1) 주의 언약을 어기는 자의 기도 1上. (2) 주의 율법을 범하는 자의 기도1下.
(3) 선을 버리고 자행(恣行)하는 자의 기도 3-4.
(4) 주를 격노케하는 자의 기도 4. (5) 참 믿지 않는 자들의 기도11-14.
9) 제9장 여호와의 재벌(災罰)
(1) 죄벌의 원인 - ① 하나님을 떠남.1 ② 패역함.
(2) 죄벌의 종류 - ① 외국에 흩어짐.9 ② 식량이 끊어 짐.10 ③ 자녀가 죽음11-14
10) 제10장 심은 대로 거둠 12-15
(1) 의를 심으면 복을 거둠.
(2) 악을 심으면 벌을 거둠.
11) 제11장 극진하신 사랑 1-13
(1) 적자와 같이 1. (2) 어머니의 사랑 같이 3. (3) 사랑하고 보호함 4.
(4) 진노를 그침 9. (5) 잊지 아니함 6-8
12) 제12장 이스라엘의 죄목 1-14
(1) 궤휼과 포학이 날 심함 1.
(2) 사랑과 공의가 없음 2.
(3) 사기와 재물을 취하고도 죄가 없다 함 7-8.
(4) 주의 은혜를 버림10-14
13) 제13장 죄악의 장래 1-16
(1) 장구치 못함 3.
(2) 멸망할 것 7-8.
(3) 고통이 심할 것 13.
14) 제14장 회개의 소득 1-9
(1) 강성 할 것 6.
(2) 영광이 됨 7-8.


3
요엘書
1. 요엘서 序論
본서는 가장 오래된 선지서로서 최후 심판과 하나님의 영광을 동시에 다루고 있으며,
구약성경 중에서 성령강림에 대해서 가장 상세하게 예언한 책이다.
1) 題目 : 본서의 제목 ‘요엘’은 저자의 이름 ‘요엘‘을 따른 것이다(1:1).
‘요엘’은 ‘여호와는 하나님이시다’라는 뜻으로서, 이 세계의 종말론적 심판과
구원을 선포하는 여호와가 유일한 신이심을 보여주는 본서의 내용에 부합된다.
2) 著者 : 본서는 브두엘의 아들 유다의 선지자 요엘에 의해 쓰여졌다(1:1). 그는 활력이
넘치고 영적으로 성숙한 사람으로 그 시대를 예리하게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의
소유자로서, 세련된 표현을 통해 하나님의 메시지를 생생하게 전달하였다.
3) 記錄 年代 : 본서의 기록연대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대부분의 개혁 신학자들은
(Keil, Delitzsch, Wunsche 등) 본서의 3:6-8의 내용이 유다를 공격했던
불레셋에 대해 보복할 것을 예언한 내용으로 이해한다. 그래서 본서의
기록연대를 B.C841-790 사이로 본다.
4) 記錄 目的 : 유다에 임박한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경고로 주어졌다. 요엘은 이스라엘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가뭄과 메뚜기 재앙속에서 하나님의 심판을 감지하고,
만약 백성들이 회개하고 하나님께 돌이키지 않으면 심각한 형벌에 처해진다
고 선포하였던 것이다.
5) 主題 : 주의 날(The Day of the Lord)이 임박하고 있다는 가르침이 본서의 주제이다.
주의 날에 주(Lord)께서는 원수들을 멸망시키시고 자신의 백성들을 높이 세우심
으로서 자신을 밝히 드러내실 것이다.
6) 요엘과 그리스도
본서에서 그리스도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은 별로 없지만, 종말론적 심판의 전권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위임되어 있음을 생각할때(계19:11-16)결코 무관하지는 않다. 그리스도의
심판(3:1, 13,) 선민의 견고한 피난처(3:16), 성령의 약속(요14:16, 행2:1-21)을 하셨다.
7) 神學的 價値 : 베드로가 오순절 성령강림을 이야기 하면서 요엘서를 인용함으로서 본서
의 신학적 가치는 한층 높아졌다. 요엘의 예언은 예수의 성육신으로 또한
성령의 오순절 강림으로 대부분 성취 되었으나, 나머지 부분은 예수께서
구름 가운데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재림하실 때 완전히 성취될 것이다.

(3) 구원/2:18-3:21
① 즉각적인 구원의 약속/2;18-27
② 미래적 구원의 약속/2:28-3:21
㉠ 그 시초/2:28-32
㉡ 그 심판/3:1-17
㉢ 그 완성/3:18-21
9) 槪要
(1) 저자 :/1:1
(2) 폐허/1:2-2:17
① 폐허의 성격/1:2-12
② 폐허에 대한 반응/1:13, 14
③ 폐허의 모습/1:15-20
④ 장래의 폐허 예언/2:1-11

4
⑤ 폐허에 관한 권고/2:12-17


2. 요엘서 本論( 여호와의 날)

1) 제1장 메뚜기 재앙의 의미 1-20
(1) 재앙의 성격과 결과 1-12
본문은 크게 네 단락으로 설명할 수가 있다.
서두(1절), 당면한 곤충재앙의 성격(2-4절), 재앙의 철저함(5-7), 재앙의 결과(8-12).
① 당면한 메뚜기 재앙은 단순한 자연재앙이 아니라, 구속사적으로 독특한 의미를지 니고 있는 여호와의 날과 관련된 사건임을 암시하고 있다 (2, 3절).
② 메뚜기 재앙은 하나님과의 관계의 단절로 야기되었다(9절).
즉 선민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망각하고 포도주에 취해 정신을 못 차리는 결과다.
③ 재앙은 생활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준다(10-12절).
(2) 결과와 교훈.
① 하나님은 미물을 통해서도 선민 이스라엘을 징계하시고 회개를 촉구하신다.
② 커다란 재앙을 앞에 두고 술에 취하여 깨닫지 못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겠다.
③ 하나님과의 관계를 떠나서 성도에게 아무런 행복도, 기쁨도 없다는 사실이다.

2) 제2장 임박한 재앙과 하나님의 구원 1-32
(1) 심판의 경고와 회개를 촉구 1-17
① 다가올 북방군대의 침입을 메뚜기 재앙으로 언급함 1-11
② 백성들이 범죄에서 떠나 하나님께 대한 믿음을 촉구함 12-17
여호와의 날은 심판의 날로서 ‘빽빽한 구름이 낀’ 어두운 날로 묘사하고 있다 1-3절
여호와의 날은 메뚜기와 군대의 이중 비유법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4-9절
여호와의 날이 임박했기에 성도들은 회개하고 돌아와야만 진노를 피할수 있다12-17
(2) 하나님의 구원과 성령강림 18-32
① 하나님은 백성들이 회개할 때 세 가지 축복을 약속하셨다(18-20).
메뚜기재앙으로 손해된 것을 영육으로 즉각 회복하여 윤택해지도록 하신다.
② 하나님은 선민이 회개할 때, 땅과 들짐승의 회복하여 축복을 받게 하신다 1-27
③ 종말에 하나님은 선민에게 성령을 부어주실 것을 약속 하신다 28-31

3) 제3장 대환난과 최후 승리 1-21
(1) 여호와의 날에 임할 축복
① 천국은 풍성한 축복을 보장해 준다(18).
② 천국은 죄를 극복한 상태에서 영원히 존재한다(19).
(2) 깨달은 교훈
① 하나님을 대적하는 개인이나 단체는 반드시 파멸 당하게 된다.
② 반면에 하나님을 의뢰하는 자는 궁극적으로 승리와 구원을 맛보게 된다.
③ 신판의 날이 악인에게는 공포와 종말의 날이지만 의인에게는 기쁨과 소망의 날이다.
그러므로 성도는 역사를 섭리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느끼면서 조심스럽게 주어진

5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아모스書

1. 아모스 序論

1) 題目 : 본서의 제목 아모스’는 ‘짐을 진 자’라는 의미를 가진‘ 본서의 중심인물인 ‘아모 스’를 따른 것이다.
2) 著者 : 본서는 예루살렘에서 남쪽으로 약 16Km 정도 떨어진 (삼하14;2) 드고아 출신
의 아모스에 의해 기록 되었다.
3) 記錄 年代와 背景 : 이스라엘과 유다가 동시에 안정과 번영을 누리던 여로보함2세와 웃시아통치 중반기 이후 시기, 즉 B.C 760년경에 기록되었다.
4) 記錄 目的 : 여로보암2세 치하에서 외적 번영과 부요로 교만해 지고, 부패와 배교를 일삼는 북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경고하고 회개를 촉구하기 위하여 기록되었다.
5) 主題 및 特徵 : 본서의 주제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하나님의 主權 : 아모스는 여호와에 대해 역사를 주관하는 분으로 설명한다.
(2) 審判의 必然性 : 참 신앙은 반드시 사회적, 종교적 정의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역설
한다(5:24). 그렇지 못할 때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이 온다고 선포한다.
(3) 選擇 思想 : 아모스는 이스라엘이 역사적으로 선택을 받았다고 확신하였다(3:2).
(4) 終末論的 回復 :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을 전면에 부각 시키면서도, 심판으로 인한
파멸로부터의 회복을 이면에 제시한다.
6) 아모스와 그리스도 : 본서는 그리스도를 ‘다윗의 장막을 재건하는 자’(9:10), ‘모든 나라
위에 뛰어난 자‘(9:12)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구속과 중보의 역할
이 후반부에 구체적으로 강조되어 있다(9:11-15)
7) ‘여호와의 날’思想 : 5:8절의 여호와의 날 사상은 이전부터 유포된 사상이다.

(3) 아모스의 설교/3:1-6:14
① 이스라엘의 운명/3:1-15
② 이스라엘의 타락/4:1-13
③ 이스라엘을 위한 애가/5:1-6:14
㉠ 임박한 심판으로 선민이 당할 파멸5:1-17
㉡ 형식화된 종교에 대한 재앙/5:18-27
㉢ 전 국가를 향한 책망/6:1-14
(4) 아모스의 환상/7:1-9-15
① 삼키는 메뚜기의 환상/7:1-3
② 불의 환산/7:4-6
③ 다림줄 환상/7:7-9

8) 槪要
(1) 저자와 주제/1:1-2
(2) 아모스의 예언들/1:3-2:16
① 다메섹에 대하여/1:3-5.
② 불레셋에 대하여/1:6-8
③ 두로에 대하여/1:9-10
④ 에돔에 대하여/1:11-12
⑤ 암몬에 대하여/1:13-15
⑥ 모압에 대하여/2:1-3
⑦ 유다에 대하여/2:4-5
⑧ 이스라엘에 대하여/2:6-16

6

2. 아모스 本論 (나라들의 죄)
1) 제1장 여호와의 징벌 1-15
(1) 책망하심이다. (2) 참으심이다. (3) 징벌하심이다.
2) 제2장 벌받을 죄목 1-16
(1) 잔인무도(殘忍無道) 한 죄이다 1-3.
(2) 율 법을 어기고 유혹을 받은 죄이다 4-5.
(3) 의인과 빈궁한 자를 억울하게 하는 죄이다 6-7.
3) 제3장 특별한 ‘이스라엘’-
(1) 주님께로부터 특별한 은혜을 받은 것이다 1-2.
(2) 죄를 범함이다 9-10.
(3) 벌을 받은 것이다 12-15.
4) 제4장 두려운 죄벌 1-13. 이스라엘의 죄를 책망하고 죄의 중벌을 말함.
(1) 전쟁과 난리를 통해 벌하시겠다는 것이다 2-3.
(2) 흉년의 벌이다 4-6. (3) 질병의 벌이다 10.
5) 제5장 주의 원하심과 원치 않으신 것 7-27.
(1) 주님이 원하시는 것 24.
① 공법(公法)과 ② 정의(定義)이다
(2) 주님이 원치 않으시는 것 7-14.
① 우상숭배를 하는 것 7-14.- 우상은 허망하고 주의 미워하시는 것이다.
② 법을 어기는 제사 21-22. - 주께서 정하신 예루살렘에서 드리지 않는 제사.
6) 제6장 죄벌이 같음 1-6
이스라엘과 유다는 죄와 벌이 같다는 것이다.
(1) 죄악이 같음이다 1-6.
① 주님의 은혜를 저버림이 같다는 것이다.
② 포악함이 같다. ③ 사치함이 같다.
(2) 벌이 같다 7-8.
① 주의 버리심이 같다. ② 포로가 됨이 같다. ③ 살육을 당함이 같다.
7) 제7장 [아마샤]의 무고(誣告)와 죄벌 12-17
① 그 집이 망한다는 것이다. ② 나라 전체가 망한다는 것이다.
8) 제8장 이스라엘의 종말 1-14
이상(異常)으로 이스라엘의 종말과 그 죄벌을 나타냄.
① 전능하신 주께서 이스라엘의 종말을 선언하심 1-2.
② 기쁜 일이 끊어진다 3.
③ 빈궁(貧窮)함과 핍절(乏絶)함이 극심함 4-6.
④ 천지가 이상할 정도로 크게 변해버림 8-9.
⑤ 애통하고 곤고한 슬픔이 가득함 10.
⑥ 주의 말씀을 구하려 동서남북을 다녀도 얻지 못하여 기갈을 당함 11-12.
⑦ 죄된 우상으로 말미암아 아름다운 여자와 젊은 남자가 기갈(飢渴)하여 피곤하고
전국이 망하게 됨 13-14.
9) 제9장 이스라엘의 징벌과 회복 1-15
(1) 이스라엘의 범죄와 징벌 1-10.
선민 이스라엘의 죄 된 우상으로 말미암아 피할 수 없는 징벌이 있음을 경고함.
(2) 은혜의 부흥을 약속하심 11-15.
주님의 은총을 입어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일으키며, 사로잡힌 자가 고토로 돌아
오고, 황무한 성읍이 건축되어 평안한 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결론 ; 주께서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을 공의로 징벌하시되 결국 은혜로 부흥시킨다.

7
오바댜書
1. 오바댜 序論
1) 著者 : 본서의 저자 이름은 ‘오바댜’인데 그 이름의 뜻은 ‘여호와의 종’이란 뜻이다.
2) 記錄 年代 : 예루살렘이 침략 당한 직후 인 B.C.586년경으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3) 主題 ; 오바댜의 중요 주제는 유다에 대해 거만하고 잔인하였던 에돔의 임박한
운명에 대한 선포이다.
4) 目的 : 오바댜는 에돔의 운명을 선포하고 유대 땅의 회복을 예언하기 위한 목적을 가
지고 기록하였다..
5) 槪要 :

② 무관심에 대하여/11-12
③ 호전성에 대하여/13-14
(3) 에돔의 파멸/15-21
① 파멸의 시기/15
② 파멸의 성격/16-21
(1) 에돔의 운명/1-9
① 심판의 확실성/1-4
② 철저한 멸망/5-9
(2) 에돔에 대한 고발/10-14
① 우애 없음에 대하여/10
② 무관심에 대하여/11-12
③ 호전성에 대하여/13-14


2. 오바댜 本論(에돔의 운명)
제1장 에돔의 멸망과 이스라엘의 회복 1-21
(1) 에서에 대한 하나님의 복수(1-16)
① 교만(3-4절) - 에돔은 작은 나라였지만 그 업적을 자랑으로 여기고 있었다.
② 동맹(7절) - 이스라엘에 사는 형제의 짐을 나누어 지기는커녕 주위의 나라들과 동맹
하여 예루살렘을 적대하였다.
③ 폭력(10절) - 에돔 사람들은 예루살렘성이 무너지는 것을 지원하고 있었다. 성을 보 존하지도 않고 위해하는 사람들을 격려했다. 유대인의 반대편에 섰다.
④ 즐거워 함(12절) - 에돔은 그 형제의 재난에 대하여 울어야 했으나 반대로 즐거워
하고 조롱하고 있었다(잠24:17-18).
⑤ 약탈(13절) - 유대인들의 재앙당하는 걸 이용하여 약탈하였다.
⑥ 피난민들을 방해함(14절) : 유대인들 중 어떤 이들은 가족을 피난시키고 보호하려 했는데 에돔은 그 길을 막았고, 피난민들을 잡아 바벨론으로 보낸다.
⑦ 술의 축제(16절) : 에돔 사람들은 포도주를 공급받아 승리의 축제를 벌였다.
(2) 야곱에게 승리를 주시는 하나님(17-21)
(3) 우리에게 주시는 교훈.
① 하나님을 끝까지 적대하는 공동체는 반드시 심판을 당한다(마25:46).
②성도는 여호와의 ‘심판의 날’이 언제 임할지 항상 기다리며 준비해야한다(마25:1-13)

8
③하나님은 하나님의 자녀에게 최종적인


요나書
1. 요나서 序論
1) 題目 : 본서의 제목 ‘요나’는 본서의 저자 이름인 ‘요나’를 따른 것이다(1:1).
‘요나’는 ‘비둘기’라는 뜻이다.
2) 著者 : 본서의 저자가 누구인지에 대해 본문에서 분명히 지적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스블론에 속한 가드헤벨 출신인 아밋대의 아들 요나(1:1)라고 전해 온다. 왕하
14:25에서 요나는 여호와의 말씀대로 여로보암 2세가 이스라엘 지경을 회복할
것을 예언하고 있다.
그리스도께서도 요나의 저작 신빙성을 언급하셨다(마12:39-41)
3) 記錄 年代 : B.C 875-760년경.
4) 記錄 場所 ; 이스라엘로 추정.
5) 記錄 目的 : 구원의 메시지가 ‘모든’사람을 위해 제시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하나님의 무
한하신 자비를 보여준다.
6) 對象 : 하나님의 주권하에 있는 이스라엘과 전 인류.
7) 特異 事項 : 다른 예언서와는 달리 선지자 자신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되고 실상 니
느웨에 대한 요나의 메시지는 단 한 구절에 집중되어 있다.
8) 背景 ; 요나는 아모스 이전 여로보암 2세( B.C. 793-753) 치하에 활동하였다.
그 후 이스라엘은 최대 적수인 앗시리아에 의해 B.C.722년에 멸망된다.
본서에 나오는 니느웨의 회개는 일시적인 회개이다(나1:1).
9) 主題 ; 이방인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은 비단 신약성경에만 나타나 있는 것은 아니다.
하나님은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이전 약700년 전에 이방인을 구원하시기 위하
여 요나 선지자를 선교사로 부르셨다. 그러나 그 당시 유다의 독선적인 민족
주의 때문에 하나님의 선지자들은 물론 그의 백성들 까지도 하나님의 범 세계
적 구원의지를 덮어 가리우게 되었다. 이 요나서야 말로 모든 성경 중에서 하
나님의 온 인류에 대한 사랑과 자비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로 보건대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전체 피조물에 대하여 지대한 관심
을 갖고 계신다는 것을 새롭게 깨닫고 자신의 역할을 온전히 감당해야 할 세
계사적 사명이 있는 것이다.
10) 槪要 ;
제1부 요나의 불순종/ 1:1-2:10
1. 소명 받은 요나 /1:1-2
2. 요나의 도피/1:3-5
3. 요나의 징벌/1:6-17
4. 요나의 회개/2:1-10
제2부 요나의 각성/3:1-4:11
1. 요나의 선교와 니느웨의 회개/3:1-10
2. 요나의 불평/4:1-3
3. 요나를 깨닫게 하시는 하나님/4:4-11

9
2. 요나서 本論(불순종하는 종)
1) 제1장 사임(辭任) -하나님의 인내하심에 관한 교훈
요나는 니느웨로 가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달아났다. 하나님 앞에서 도망했다는 것은
선지자의 직임을 사임했다는 뜻이다.
(1) 불순종(타락)의 요인 - 하나님의 일이 어렵고 위험하다고 생각했다(4:1-2)
전도에 그릇된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즉 할 수도 있고 안 해도 된다고 생각했다. 또한 기도에도 나쁜 태도가 있었다. 문제 놓고 기도했지만 주의 뜻과 인도를 구하지 않았다.
(2) 타락의 과정 - 상승이 아니라 하향적이었다. 남쪽의 욥바로 내려 갔고, 배안에서도
아래로 물고기 속으로 들어갔다. 타락하는 자에게 때로 잘 되는 것 같이 보이는 때가
배가 기다리고 있었고, 배삯을 지불할 돈이 있으니 하나님의 뜻으로 착각했다.
(3) 타락의 결과 - 주님의 음성대신 천둥과 번개로 말씀하실 수 밖에 없었다.
그는 영적인 힘을 잃고 잠이 들었고, 기도할 힘조차 없었다. 주님은 인내하셨다.
2) 제2장 회개 - 하나님의 자비에 관한 교훈
(1) 하나님은 요나가 죽은 것 같은 상황 속에서 부르짖는 절박한 기도를 들으신다(2절)
(2) 요나는 자신에게 일어난 일들이 하나님의 징계의 수단인 것을 깨달았다(3절)
(3) 요나는 자신을 구원할 자는 유일한 주님인 것을 깨닫게 되었다(5-7)
(4) 구원을 체험한 자만 감사기도를 할 수 있음을 깨닫고 서원한다(8-9절)
3) 제3장 부흥 - 하나님의 능력의 교훈
(1) 하나님은 요나를 연단시켜 구령사역을 감당케 하신다(1절)
(2) 주님의 전능하심을 맛보고 주님의 두 번째 명령을 이행한다(2-4절)
(3) 회개한 선지자가 전도하니 강팍한 니느웨도 회개하여 구원을 받는다(5-10)
(4) 이방의 용서를 통하여 하나님은 심판보다 용서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교훈 : ① 하나님이 성도에개 주신 사명은 반드사 이루신다.
② 성도들은 말씀을 회개하는 심령으로 읽고 듣고 실천해야 한다.
③ 성도는 참된 회개를 통해 하나님과 온전한 교제를 회복하고 경건에 힘써야한다.
4) 제4장 반역 - 하나님의 긍휼에 대한 교훈
(1) 불평하는 요나 1-3
원수의 나라인 니느웨가 회개한 것에 대하여 불만을 토로한다. 이것은 유대인의
잘못된 선민의식으로 생긴 것이다.
(2) 자신의 예언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대하여 5
40일후 이 성이 무너질것이란 확신을 갖고 초막을 짓고 살펴 보았지만 성이 무너 지지 않자 자신은 거짓 선지자로 판명나서 자신의 위신이 실추되었다 생각했다.
(3) 요나의 불평에 대한 하나님의 권면
① 박 넝쿨과 벌레를 통해서 권면하심 6-9
하나님의 뜻을 깨닫게 하심이다. 너는 박 넝쿨보다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인간의
목숨이 더 귀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시기 위함이다
② 하나님의 계속된 권면에도 불구하고 요나의 잘못된 선민의식은 고쳐지지 않았다.
교훈 : 하나님은 내가 싫어 하는 사람도 사랑하신다는 걸 알고 이웃을 사랑하자(요13:34)
주님은 여러 가지 사건으로 권면하신 이방구원의 계획이 신약에도 유효함을 깨닫고
복음을 증거하는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행1:8)

10

미가書
1. 미가서 序論
1) 題目 ; 본서는 미가의 이름을 따라 붙여졌다
2) 著者 ; 모레셋 사람 미가로 본다. 하나님 같은 자 누구냐’ 한 선지자에 있어서 이름의 의미는 중요하다. 미가는 거짓 선지자와 악인들에 대한 그의 도전을 의미한다.
3) 記錄 年代 ; 요담, 아하스, 히스기야의 통치기간인 B.C. 742-687년으로 추정함.
4) 記錄 目的 : 임박한 심판을 경고하여 죄악의 회개를 촉구하고 장차 도래할 메시야 왕
국에 대해 알려주어 백성들에게 소망을 주려함.
5) 特異 事項 : 고대 히브리 시 형식이 내포된 아름다운 글이다. 이스라엘의 회복과 관련
된 메시야의 베들레헴 탄생 예언은 매우 특이한 사실이다.
6) 槪要 :

3) 구원 - 미래의 왕/5:2-15
(1) 그의 초림/5:2-3
(2) 그의 재림/5:4-15
4. 경고의 메시지/6:1-7;10
1) 하나님의 첫 번째 경고/6:1-5
2) 이스라엘의 첫 번째 대답/6:6-8
3) 하나님의 두 번째 경고/6:9-16
4) 이스라엘의 두 번째 대답/7:1-10
5) 맺는 말 - 이스라엘의 축복/7:11-20
1. 머리말/1:1
2. 사마리아와 유다의 멸망에 관한
메시지/1:2-2:13
1) 임박한 심판의 게시/1:2-16
2) 임박한 심판의 이유/2:1-13
3. 멸망과 구원의 메시지/3:1-5:15
1) 멸망 - 임박한 심판/3;1-12
(1) 지배자에 대한 심판/3:1-4
(2) 거짓 선지자들에 대한 심판/3:5-8
(3)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3:9-12
2) 구원 - 미래의 왕국/4:1-5:1
(1) 왕국의 영광/4;1-8
(2) 왕국에 앞서는 고난/4:9-5:1

2. 미가서 本論(하나님 말씀을 들으라)
1) 제1장 여호와의 징벌 1-16
(1) 징벌의 이유 1-2 - 저희의 죄로 인함이다.
(2) 징벌의 위엄 3-4 - 주께서 강림하사 위엄을 나타내심이라.
(3) 징벌의 선언 5-7 - 선지자를 통하여 선언하였다.
(4) 징벌의 세밀 11-16 읍과 촌을 다 벌하심이다.
2) 제 2장 선민의 죄벌 1-13
선민의 죄와 벌은 이러하다.
(1) 권력자의 죄 1-2 - 주야로 마음으로 생각하고 도모(圖謀)하여 탐탐(耽耽)과 학대 (虐待)와 악행을 기탄(忌憚)없이 행함이다.
(2) 모든 백성의 죄 3 - 모든 배성도 악하여 벌을 받을 것이다.
(3) 모욕(侮辱)을 당할 벌이다

11
(4) 포로(捕虜)가 될 것이다.
미가서 本論
3) 제3장 거짓 선지자와 참 선지자 1-12
참 선지자는 미가이다.
(1) 거짓 선지자의 소위
① 공의를 버리고 악행을 힘씀 1-3
②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인민을 해함.
(2) 참 선지자의 소위
① 주의 권능을 믿고 공의를 행함 8.
② 인민의 유익을 위하여 죄악을 책망함.
4) 제4장 여호와의 큰 經綸 1-3
(1) 시온산을 초출(超出)케 하심 1
메시야의 교회가 다른 교회보다 뛰어나게 할 것이다.
(2) 열국(列國)을 귀순(歸順)케 하심 2
세계만민이 다 주께로 돌아오게 하실 것이다(세계복음화의 성취).
(3) 세계를 평화롭게 하시기로 하심 3-4
천년세계는 평화로울 것이요 영육의 생활이 안정 할 것이다.
(4) 선민을 부흥케 하시기로 하심 6-13
주의 징책을 받아 고난을 당하나 주의 은혜로 부흥케 하실 것이다.
5) 제5장 선민의 장래 받아 누릴 복 1-15
(1) 메시야를 얻은 복 2
(2) 참 평강을 얻은 복 5
(3) 세계에 은혜(복음)를 끼칠 것임 7
(4) 세계에 권위가 있을 것임 9
6) 제6장 범죄한 이스라엘의 책망과 심판
(1) 범죄한 이스라엘에 대한 책망 1-8
① 주님은 자연계를 증인으로 채택하여 이스라엘에게 경고 하신다 1-2
② 주님은 과거의 사건을 통하여 이스라엘에게 경고 하신다 4-5
③ 주님은 외형적인 제사보다 실천적인 삶을 원 하신다 6-8
(2) 범죄한 선민에게 심판을 선언하심 9-16
① 하나님은 불의한 상인들을 책망하신다. 10-11.
② 하나님은 불의한 부자들을 책망하신다. 12
③ 하나님은 욕심에 찬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심판을 행하신다.13-16
7) 제7장 선민을 위한 선지자의 탄원 1-20
(1) 부패한 선민을 위한 비탄 1-6
① 이스라엘에는 경건한 다가 없다 1-2
② 이스라엘은 공동체 전체가 타락했다.3-6
(2) 선지자의 탄원 7:7-20
① 하나님의 심판 중에서도 성도는 여호와만을 신뢰해야 한다.7-9
② 하나님의 심판 중에서도 성도는 궁극적으로 여호와의 통치하심을
확신해야한다.10-17

12
③ 하나님의 심판 중에서도 성도는 여호와의
나훔書
1. 나훔서 序論
1) 題目 : ‘위안’‘위로자’란 말의 뜻을 지닌 저자의 이름을 반영하고 있다.
2) 著者 : 나훔. 본서의 내증으로 보아 분명하다.
3) 記錄 年代 : B.C. 621-612경 유다왕 요시아의 개혁이후이며(1:15) 앗수르의 멸망직전
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4) 記錄 目的 : ① 대적인 앗수르의 압제받던 유다의 구원을 선포하기 위하여
② 포악했던 앗수르의 멸망을 보고 하나님의 공의 성취를 깨닫게 하기위해
③ 앗수르의 멸망이 하나님의 계획으로 된 것임을 보여 주어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가르치기 위해.
5) 主題 : 니느웨의 멸망. 앗수르는 이스라엘을 징벌하는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스스로 행한 죄악과 강포로 인해 멸망할 것을 예언한다.

2) 심판의 예언/2;1-2
3) 심판의 묘사/2:3-10
4) 심판의 변호/2:11-3:7
5) 심판의 경고/3:8-10
6) 심판의 필연성/3:11-19
6) 槪要 :
1. 주제와 저자/1:1
2. 하나님의 위엄/1:2-14
1) 하나님의 품성/1:2-8
2) 하나님의 진노/1:9-14
3. 하나님의 심판/1:15-3:19
1) 심판의 선포/1:15


3) 제3장 니늬웨의 죄와 벌 1-19
(1) 니늬웨의 죄
① 피를 흘린 죄이다
② 궤휼(詭譎)함이다
③ 강탈(强奪)함이다
④ 미혹함이다
(2) 니늬웨의 벌
① 적군으로부터 공격을 받는다.
② 살육(殺戮)을 당한다. 3
③ 수치를 당한다. 5
④ 영원히 멸망을 당한다.
2. 나훔서 本論
1) 제1장 앗수르의 패망 1-12
(1) 앗수르 패망의 원인은 이러하다.
① 주를 대적하였다
② 자기만을 의지하였다.10
③ 선민 이스라엘을 침해하였다. 11
(2) 어떻게 패망하는가?
① 주께서 진노하심으로
② 주께서 격멸(擊滅)하심으로 8-9
③ 영원히 멸하고 말 것이다 12
2) 제2장 니느웨의 전후 1-13
(1) 니느웨의 전
① 방비(防備)가 견고하였다. 1-7
② 인물이 수다하였다 8-9
③ 권리가 있었다.
(2) 니늬웨의 후
① 타국의 공격을 받는다. 3-4
② 후비(后妃)와 인민이 포로가 된다. 7-10

13
③ 전국이 멸망하게 된다.
하박국書

1. 하박국 序論
1) 제목(題目) : ‘포옹하다’라는 뜻을 지닌 저자의 이름을 반영하고 있다.
2) 著者 : 하박국. 본서의 내증(1:1) 등이 이를 뒷받침해 준다.
3) 記錄 年代 : B.C.610년경. 1장에 등장하는 갈대아 사람은 신바벨론을 말하며 이들이
강성해져 유다를 침입(B.C.605년)한 기술되어져 있으므로, 이때 기록된
것으로 여겨진다.
4) 紀錄 目的 : ① 하나님을 의지하는 믿음의 필요성을 가르치기 위해서.
② 의인의 고통과 악인의 형통은 일시적인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공의가 이루어짐을 알게 하기 위하여 기록되었다.
5) 主題 :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악인은 잠시 형통한 것 같으나, 하나님의 심판을 면할
수 없으며, 의인은 구원의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삶의 지표로 삼아야 한다.
6) 特異 事項 : 1, 2장은 신학적인 주제가 질의응답으로 기록되고 3장은 하나님에 대한
찬양이 기록되었다. 주제면에서 구약의 여느 책과는 달리 신학적 특징,
곧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4) 대답2/ 2:2-20
3. 하박국의 찬미/3:1-19
1) 하나님의 품성에 대한 찬미3:1-3
2)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찬미3:4-7
3) 하나님의 목적에 대한 찬미3:8-16
4) 믿음의 축복에 대한 찬미3:17-19
7) 槪要
1. 머리말/1:1
2. 하박국의 질문들/1:2-2:20
1) 물음1 - 하나님은 왜 유다 내의 악이
계속되도록 허락하셨는가/1:2-4
2) 대답1 - 1:5-11
3) 물음2 - 하나님은 왜 악한 백성을 유다를
징벌하는 사용하셨는가/1:12-2:1
2. 하박국 本論

3) 제3장 기도의 시가(詩歌)1-19
(1) 환난중에 주의 구원을 구함 2
(2) 주의 영광과 위엄을 찬송함3-7
(3) 주의 권위로 원수를 멸하고,
선민을 구원하시를 구함
1) 제1장 갈대아의 포학(暴虐)과 선지자의 기도 1-17
(1) 갈대아의 포학(暴虐) 6-11
① 강성(强盛)함
② 포행(暴行)함
(2) 선지자의 기도 12-17
① 선민의 참상을 고함
② 갈대아인의 포행을 고함.
2) 제2장 갈대아인의 조롱거리 6-20
(1) 약탈(掠奪 )을 당함 7-8
전에는 타인의 것을 약탈하다가
지금은 타인에게 약탈을 당함.
(2) 수욕(羞辱)을 당함. 10
(3) 모든 것이 헛됨 12-14.

14
(4) 더러운 욕을 당함 15-16
스바냐書
1. 스바냐서 序論
1) 題目 : ‘여호와께서 그를 감추셨다’라는 뜻을 지닌 저자의 이름을 반영하고 있다.
2) 著者 : 본서의 내증(1:1)과 유대교와 기독교의 전승으로 보다 명백해 진다.
3) 記錄 年代 : B.C.640-622년경. 저자가 요시아왕의 제위기간(B.C.640-609년)중에
활동한 것(1:1)을 보아 요시아왕의 개혁전에 기록한 것으로 본다.
4) 記錄 目的 : ① 심판의 날인 ‘여호와의 날’을 선포하기 위하여.
② ‘여호와의 날’에 구원받을 ‘남은 자’들의 영광을 노래하기 위하여.
5) 主題 : ‘여호와의 날’ 여호와의 날에 유다는 황폐케 되고 열국은 진멸될 것이나,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남은 자 들’은 그 날을 인하여 기뻐한다.
6) 特異 事項 :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과 구원의 사랑이 대비되어 나타난다. 저자의
계보가 4대에 걸쳐 자세히 기록됨.
7) 槪要 :

4) 열국에 까지 이를 심판/2:4-15
5) 예루살렘의 불의/3:1-8
3. ‘여호와의 날’의 축복/3:9-20
1) 남은자에 대한 하나님의 보호3:9-13
2) 남은 자가 얻을 기쁨/3:14-20
1. 서론/1:1
2. ‘여호와의 날’의 심판/1:2-13
1) 유다에 대한 심판의 선포/1:2-13
2) 여호와의 날에 있을
하나님의 진노/1:14-18
3) 회개의 권고/2:1-3


3) 제3장 주의 재벌(災罰)과 구원 1-20
(1) 재벌을 받을 자
① 주를 거역하는 자.
② 포악한 자. 1
③ 교훈을 받지 아니한 자. 2
④ 교만한 자. 3
(2) 구원을 얻을 자
① 주를 경외하는 자 7
② 교훈을 받는 자
③ 주께 간구하는 자
④ 겸비(謙卑)한자

2. 스바냐 本論
1) 제1장 여호와의 심판 1-18
(1) 밝히 살피신다.
등불과 같이 살피실 것임.
(2) 심히 빠르게 하신다. 14
(3) 지극히 엄하시다
(4) 지공무사(至公無私)하시다.
2) 제2장 열국의 죄벌 1-15
(1) 그 죄
① 주님을 대적함.
② 선민을 핍박함.
(2) 그 벌
① 멸절 함

15
② 황무(荒蕪) 함.

학개書
1. 학개서 序論
1) 題目 : ‘축제’‘잔치’의 뜻인 히브리어 ‘학가이’에서 유래한 저자의 이름을 반영한다.
2) 著者 ; 학개. 본서의 내증(1;1)과 에스라의 언급( 스6:14)으로 보아 명백하다.
3) 記錄 年代 : B.C. 520년. 본서의 네 계시의 서두에 나타나는 ‘다리오왕 이년’은
B.C. 520년이다.
4. 記錄 目的 : ① 이스라엘 백성들을 격려하여 중단된 성전재건 공사를 완성하게 하기
위하여. ② 백성들의 이기적 욕망을 제거하여 하나님을 우선하는 바른
신앙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기록하였다.
5) 主題 : 성전을 재건하라. 하나님의 성전을 재건하지 않고 자신들의 거처를 먼저 마
련한 불신앙을 벗고, 장차 오실 메시야를 맞기 위해 성전을 재건할 것을
독려하고 있다.
6) 特異 事項 : 포로 후기 예언서 중 첫 번째 책으로 백성들을 각성시키기 위해 단순하고
직접적인 문체를 사용. 특히 중심되는 사상과 주제는 질문형태로 제시됨.
성전은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는 모형으로 성전 재건음 그리스도를 본받
아 가는 과정을 예표 함이다.

5) 백성들의 반응/1:12-15
2. 주안에서 담대할 것2:1-9
3. 정결한 생활/2:10-19
4. 미래를 확신할 것/ 2:20-23
7) 槪要 :
1. 성전건축의 호소/1:1-15
1) 머리말/1:1-2
2) 책망/1:3-6
3) 대책/1:7-8
4) 하나님으로 부터의 책망/1:9-11

2. 학개서 本論
1) 제1장 선민의 개과천선(改過遷善) 1-15
(1) 저희의 과실(過失)
① 성전건축의 마음이 해태(懈怠)함
② 자기의 사업에만 치중하다.
(2) 저희의 개과
① 선지자의 권유(勸諭)를 즐겨 따름.
② 성전건축을 다시 시작함.

2) 제2장 만사가 선후가 있음.1-23
(1) 먼저 할 일.
주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 것이다
(2) 후에 할 일
자기를 위하는 모든 일이다.

16
스가랴書
1. 스가랴 序論
1) 題目 : ‘여호와께 기억된 자’의 뜻을 가진 저자의 이름을 반영하고 있다.
2) 著者 :스가랴. 본서의 내증(1:1)으로 보아 명백하다. 예레미아와 에스겔처럼 스가랴는 선지자인 동시에 제사장이었다(1:1) 학개와 동시대에 활동하였다.
3) 記錄 年代 : 1장-8장은 B.C.520-518년과 9장-14장은 B.C.480-470년경 기록되었다.
4) 記錄 目的 : ① 14년간이나 중단된(스4:23-24) 성전재건사역을 재개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② 메시야의 초림(9:9, 11:11-13)과 재림(14:1-21)을 예언하여
이스라엘의 회복에 대한 소망을 부여하기 위하여.
5) 主題 : 이스라엘의 영광된 미래. 이스라엘은 비록 포로생활에서 막 귀환한 보잘 것 없
는 존재이나, 메시야의 임제와 사역, 그리고 승리하심으로 말미암아 다시금 크
게 영광을 떨칠 것이다.
6) 特異 事項 : 타 예언서보다 상징적 환상과 메시야 예언 천사와 종말론적 언급이 많다

5) 순금등대와 두 감람나무에
대한 이상/4:1-14
6)날아가는 두루마리 이상/5:1-4
7) 에바속의 여인에 대한 이상/5:5-11
8) 네 병거에 대한 이상/6:1-8
7) 槪要 :
1. 회개의 권유/1:1-6
2. 스가랴의 여덟가지 이상1:7-6:8
1) 말탄 자들에 대한 이상/1:1-17
2) 네 뿔과 네 공장에 대한 이상/1:18-21
3) 척량하는 자에 대한 이상/2:1-13
4) 대제사장 여호수아에 대한 이상3:1-10

2. 스가랴서 本論
1) 제1장 두 이상 7-21
(1) 말탄 자의 이상 7-17. (2) 네 뿔의 이상 18-21
2) 제2장 주의 특별 선대 1-13
(1) 화성곽(火城廓)으로 보호하심이다 5. (2) 고국(故國)으로 모아 주신다 8
(3) 이방을 주관케 하심이다 19. (4) 주께서 동거하심이다. 11

17
3) 제3장 선민의 부흥하는 차서
(1) 사탄을 제어함 2. (2) 죄를 사면하심 3-4.
(3) 성작(聖職)을 다시 세움 5-8. (4) 영원한 복을 주심 9-10
4) 제4장 두 감람나무 1-13
(1) 그의 선 자리
① 등대 곁에 있음 4. - 주님 앞에 있음이다.
② 주발(周鉢)좌우에 있음 4. - 성령의 은혜중에 있음이다.
(2) 그의 책임.
① 총독 - 주님을 대신하여 주를 섬기는 자이다.
② 제사장 - 백성을 대신하여 주를 섬기는 자이다


스가랴 본론
5) 제5장 두 이상 1-11
(1) 두루마리의 이상 1-4
① 세상 사람의 죄를 숨기지 못할 것.
② 주를 거역하고 사람을 해하는 자는 벌을 피하지 못할 것.
(2) 에바의 이상 5-11
① 구속함을 받은 자라도 죄악을 범하기 쉬우니 근신할 것이다.
② 주의 능력으로 죄악을 막을 것이다.
6) 제6장 주의 상벌 1-15
(1) 선민의 원수는 순차로 벌하심. 1-8
(2) 주의 선한 종은 금관의 상을 받을 것이다.9-14
7) 제7장 주를 섬기는 법 1-13
(1) 그 법을 알 것이다 2-3. (2) 성심으로 할 것 4-7. (3) 선행을 힘쓸 것 8-10
(4) 주님의 교훈을 순종 할 것이다12-15
8) 제8장 은혜받은 자의 할 일 1-22
(1) 어떤 은혜를 받았는가?
① 구원의 은혜를 받은 것이다. ② 건국의 은혜다.
(2) 마땅히 할 일
① 손을 굳게 할 것이다. 9. ② 서로 사랑 할 것이다. 17-19
9) 제9장 메시야의 정치 9
(1) 공의의 정치. (2) 구원. (3) 겸손.
10) 제10장 선미의 의무와 복록(福祿) 1-11
(1) 의무.
① 주만 의지 할 것 1-2. ② 소망을 인하여 기뻐할 것 6-7. ③ 항상 섬길 것.
(2) 복록(福祿)
① 권영의 복 11. ② 구원. ③ 경성(警醒)의 복.
11) 제11장 유다인이 화를 자취함 1-17
(1) 두 막대기를 자름 10. (2) 선한 목자를 버림. (3) 우매한 목자를 취함.
12) 제12장 회개의 길 1-13
(1) 주를 봄으로 회개할 것이다.10 (2) 성령의 감화로. 10 (3) 회개의 유익. 12-13
13) 제13장 선민의 활로(活路) 1-9
(1) 은혜의 샘 근원이 열림 1 (2) 우상을 버림 2 (3) 미혹이 없음 3-6
(4) 재난 중에도 남은 자가 됨 8-9
14) 제14장 말일의 상황 1-21
(1) 큰 전쟁과 난리가 있을 것 1-2 (2) 주께서 이기 실 것 3
(3) 지진이 있을 것 4. (4) 주께서 강림하사 왕이 되실 것임 5-9
(5) 예루살렘은 안전할 것 10-11. (6) 이방이 주께 귀순 할것임 16-19.

18
(7) 모든 재앙이 있을 것 12-15 . (8) 모든 것이 다 거룩할 것임20-21.

말라기書
1. 말라기 序論
1) 題目 : ‘나의 사자’란 뜻으로 저자의 이름을 반영하고 있다.
2) 著者 ; 말라기. 본서의 내증(1;1)으로 보아 명백하다.
3) 記錄 年代 : B.C. 430년경. 본서에 나타난 죄상이 느혜미아 때와 유사함으로 두 사람
활동시기인 B.C. 430년으로 본다.
4) 記錄 目的 : ① 포로 귀환 후 100여년이 지나 다시 흐트러진 백성에게 하나님과의 언
약을 기억하여 믿음을 회복케 함이다.
② 의무의 완전한 이행, 즉 제사 규례, 십일조, 등 하나님을 섬기는 율례
를 거룩하고 온전하게 드릴 것을 권면하기 위해서 기록하였다.
5) 主題 : 계약의 신실한 이행. 언약을 바르게 이행하고 신실하게 이행할 때 축복이 임할
것임을 가르친다.
6) 特異 事項 : 학개, 스가랴, 말라기는 포로후기 예언서로 외적 제사와 의식을 강조 함.

4) 십일조와 헌물의 부정에 대한
책망 3:7-15
5) 여호와의 날에 임할 심판/3:16-4:3
4. 결론/4:4-6
1) 모세 율법을 기억할 것을 권고/4;4
2) 엘리야의 파송에 대한 예언/4:5-6
7) 槪要 :
1. 서론 :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1:1-5
2. 이스라엘을 향한 견책/1:6-4:3
1) 제사장들에 대한 책망/1:6-2:9
2) 잡혼에 대한 책망/2:10-17
3) 주의 사자의 임재를 선포함/3:1-6

3) 제3장 성도의 마땅히 할일 1-18
(1) 구원의 주 강림하심을 1
(2) 연단한 후에야 성결할 것을 2-5
(3) 주의 말씀이 변치 아니하는 것 6
(4) 법대로 주를 섬기는 자의 복 7-18
4) 제4장 말일에 두 가지 일 1-5
(1) 교만한 죄인의 당하는 일 1
소멸의 벌
(2) 경건한 신자의 당할 일 2-3
구원과 영광을 얻을 것이다.

2. 말라기 本論
1) 제1장 제사장의 죄 6-14
(1) 그 죄 6-13
① 주를 무시함
② 자기의 이익을 위함
(2) 죄의 영향(影響) 14
① 자기의 벌을 받음.
② 전국의 죄벌이 됨.
2) 제2장 주의 미워하시는 것 1-16
(1) 회개치 아니하고 제사하는 것 3-4
(2) 자기 본분을 지키지
아니하는 것 5-7
(3) 언약을 스스로 폐하는 것 8-10
(4) 본처를 버리고
재취(再娶)하는 것.13-15
(5) 주를 괴롭게 하는 것16-17


19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칼빈의 5대 교리(장로교 교리) 복음제일교회 2022.06.05 2321
1398 "한국이 이걸 해냈다고? 세계 4강 기술, 한국이? 복음제일교회 07.01 8
1397 한국을 무시한 프랑스인이 무섭게 경악~ 대박! 복음제일교회 06.30 11
1396 폴란드에서 한국을 사랑하다 복음제일교회 06.30 11
1395 일본을 짓밟고 마지막 강대국이된 한국 복음제일교회 06.29 11
1394 "세계1위 부자, 한국에서 나온다!" 복음제일교회 06.26 13
1393 '한글 대란' 세계를 휩쓴다 복음제일교회 06.23 19
1392 한국이여 우리(이스라엘)를 살려 달라 복음제일교회 06.22 17
1391 한국이 에콰도르의 군함을 무상으로 지원했데요 댓글+1 복음제일교회 06.22 47
1390 이란, SOS 한국이여 살려 달라~~ 복음제일교회 06.21 18
1389 한반도에 숨겨진 이스라엘 복음제일교회 06.21 17
1388 마지막 나필 소리와 준비해야 할 것 복음제일교회 06.19 22
1387 셈 후손의 연구 엔드타임 - 4탄 댓글+1 복음제일교회 06.18 21
1386 곡과 마곡의 전쟁이 시작되다 복음제일교회 06.16 33
1385 실제상황 - 원더플 코리아 복음제일교회 06.15 25
1384 붕괴하는 미국, 부상하는 한국 댓글+1 복음제일교회 06.13 27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