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침술 중국 표준화

한국 침술 중국 표준화

복음제일교회 0 1,969 2021.01.11 16:57

한국침술, 중국 제치고 국제표준 됐다
기사입력 2008-06-19 01:38 |최종수정2008-06-19 02:37


[중앙일보 김창규] 음식을 먹고 체했을 때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를 눌러 주면 소화가 잘된다. 옛 어른들이 사용해 온 민간요법이다. 한의학에서는 이 부위를 양 뼈가 합쳐진 것이 골짜기와 같다고 해서 합곡(合谷)이라고 부른다. 한의사는 소화불량에 걸린 환자가 오면 보통 이 부위에 침을 놓는다. 일본 한의사도 같은 증세일 때 합곡에 침을 놓지만 위치가 다르다. 한국에서는 두 손가락 사이 손등 위쪽 부위를 뜻하지만 일본에선 이보다 더 뒤쪽을 이른다.

인중을 뜻하는 수구(水溝)도 마찬가지다. 수구는 사람이 인사불성이 되거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침을 놓는 곳이다. 한국에서는 코나 입술의 중간쯤을 뜻하는데 중국에서는 코 쪽에 더 가깝다. 이렇게 나라별로 이름은 같은데 침을 놓는 위치가 달라 혼선이 생기기도 했다. 임상실험 결과 A라는 혈위(침을 놓는 자리)에 침을 놓으면 B라는 효과가 있다는 논문을 보고 다른 나라 한의사가 따라 해도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속출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런 혼란을 줄이기 위해 침 시술법의 국제표준을 정했다. WHO는 중국과 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침 시술법을 표준으로 택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WHO의 '침구 경혈 부위 국제표준'에 한국의 침 시술 방법이 정식 채택됐다”고 18일 발표했다.

한의사협회에 따르면 사람 몸에서 침을 놓는 혈위는 361개에 달한다. 이번에 확정된 361개 국제표준 가운데 99%에 가까운 357개가 한국 한의학의 혈위를 따랐다. 사실상 한국 한의학의 침 시술법이 세계의 표준이 된 것이다. 침 시술은 아프리카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이뤄진다.

김현수 한의사협회장은 “한국 한의학의 안전성과 신뢰도, 호환성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평가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표준이 됐다고 해서 WHO가 우리의 시술법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규정은 없다. 모든 나라가 한국 방식을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란 의미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국제 학술논문에는 WHO 표준을 사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공식 한의학 관련 교과서와 경혈도가 바뀌고, 결국 모든 나라가 이 방식을 따라 할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 것이다. 보건복지가족부와 WHO, 대한한의사회는 19일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WHO 침구 경혈 부위 국제표준서』 출판기념회를 열 예정이다.

김창규 기자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칼빈의 5대 교리(장로교 교리) 복음제일교회 2022.06.05 2715
1450 요한(북한Kim)의 고백(보고서) 복음제일교회 10.28 8
1449 대박! 한국이 1위라구요? 복음제일교회 10.26 11
1448 세계4위 한국 복음제일교회 10.25 10
1447 창9:27절 하나님의 세계경영은 누구든지 막을 수 없다 댓글+1 복음제일교회 10.23 18
1446 미국보다 더 빠르게 침투선 보고 제압 댓글+1 복음제일교회 10.22 16
1445 10월의 숨겨진 이야기 12 복음제일교회 10.20 15
1444 김서연 한의사의 축복된 사연 복음제일교회 10.19 20
1443 한명도 안 놓친다. 캄보디아도 살린다 복음제일교회 10.18 33
1442 다윗과 골리앗의 마지막 전쟁 이미 끝났군요 복음제일교회 10.12 39
1441 러시아, 한국에 350조 보내라 댓글+1 복음제일교회 10.08 59
1440 통일교와 신천지의 커낵션 복음제일교회 10.07 49
1439 노키아 한국 G6 노벨상 후보 인류를 위해 서다 댓글+1 복음제일교회 10.07 37
1438 김여정이 김주애에게 절을 했다네요 복음제일교회 10.05 41
1437 역시 한국이 중앙 아시아를 살렸네요 "강추" 복음제일교회 10.05 36
1436 결국 세계 1위가 한국이란다 복음제일교회 10.04 46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